상태코드 HTTP_204_NO_CONTENT 관련 에러
증상 : 해당 기능의 api 요청을 보낼 시 ‘HTTP_204_NO_CONTENT’를 사용할 경우 에러를 일으킴
원인 :
console.log(response)를 사용하여 확인 결과 body에 백엔드의 데이터를 담아오지 못하는 것을 찾아냄. 그래서 확인
결과 상태코드에 따라 api로 요청을 보낼 때 영향을 미칠 수 있던 것이다. 상태코드 HTTP_204_NO_CONTENT를 사용 하여 restAPI를 사용하면 json 형식의 데이터를 담을 수 없어 에러를 발생.
해결방법 :
‘HTTP_204_NO_CONTENT’는 json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없으므로 상태코드를 ‘HTTP_200_OK’ 변경하여 해결
API 개발 시 적합한 상태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상태코드에 대해 공부할 것.
사용할 법한 상태 코드를 정리해보았다.
- 200: OK (정상, 데이터 있음)
- 204: No Contents (정상, 데이터 없음)
- 301: Moved Permanently (리다이렉션)
- 400: Bad Request (실패, 클라이언트에서 넘어온 파라미터가 이상함)
- 401: Unauthorized (실패, 클라이언트에서 넘어온 보안 토큰이 이상함)
- 403: Forbidden (실패, 사용자의 권한으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없음)
- 404: Not Found (실패, 데이터가 있어야 하나 없음)
- 410: Gone (실패, 데이터가 있었으나 삭제됨. 이건 굳이...?)
- 500: Internal Server Error (실패, 서버 로직 문제)
- 501: Not Implemented (실패, 없는 리소스 요청)
'코딩공부 > Djang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jango 각종 API Key, Token 관리하는 방법 (0) | 2022.12.07 |
---|---|
DRF APIView로 좋아요 기능 구현_백엔드 (0) | 2022.12.02 |
Django Queryset,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데이터 조회 (0) | 2022.11.15 |
DRF Permission으로 사용자의 접근 제어 (0) | 2022.11.14 |
DRF 커스텀 유저 구현하기, access token의 payload 수정 방법 (0) | 2022.11.10 |
댓글